대전사람

신라 01. 시림의 닭 울음소리

시대/배경/등장인물 : 탈해 이사금(4대, 57~80) / 금성(서라벌) 시림=계림 / 탈해이사금, 호공, 김알지

[19쪽] 시림 : 始林 계림鷄林의 다른 이름, 금성(서라벌=경주) 서쪽의 소나무 숲

[19쪽] 탈해 이사금 : 4대 57~80

[19쪽] 구중궁궐 : 九重宮闕 겹겹이 문으로 막은 깊은 궁궐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있는 대궐 안을 이르는 말. 

[20쪽] 호공 : 瓠公 신라초기 유력자로서 바다를 건너온 왜인으로 허리에 박을 달고왔다하여 호공이라 부름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63671

 

신라 02. 진상 된 여인

시대/ 배경/등장인물 : 소지 마립간(21대, 479~500) / 날이군 / 벽화, 파로, 소지 마립간, 태을 

[22쪽] 파로 : 波路 날이군(捺已郡, 경북 영주) 사람으로 500년(소지 마립간 22년) 9월에 소지 마립간이 날이군에 行幸하였을 때, 딸 벽화(碧花)를 몰래 바쳤다.

[24쪽] 야단법석 : 惹端法席 설법(說法)을 듣는 법회(法會)의 매우 엄숙한 자리에서 무슨 괴이한 일의 단서(端緖)가 야기(惹起)되어 매우 소란한 형국이 되었다는 의미

 

03. 망국의 한이 서린 가야금

시대/ 배경/등장인물 : 진흥왕(24대, 540~576) / 대가야, 국원(충주) / 우륵, 가실왕, 만덕, 법지, 계고 

[30쪽] 파로 : 성산가야(성주) 대가야(고령) 고령가야(진주) 아라가양(함안) 소가양(고성) 금관가야(김해)

[30쪽] 가실왕 : 당나라의 악기 쟁(箏)을 보고 열두달의 악률(樂律)을 형상하는 십이현금(十二弦琴), 곧 가야금(加耶琴)을 만들었다. 

[31쪽] 국원 : 國原 지금의 忠州

[31쪽] 촌 : 〓 치 / 한 자(약 30cm)의 1/10, 3.3cm

 

신라 04. 고구려 승려와 신라 장수

시대/ 배경/등장인물 : 진흥왕(24대, 540~576) / - / 혜랑법사, 거칠부

[37쪽] 국통 : 國統 신라 때 승려의 관직으로, 국왕의 고문으로 불교정책을 책임지던 최고의 지위

[37쪽] 제수 : 除授 천거에 의하지 않고 임금이 직접 관리를 임명하는 일

 

신라 05. 도화녀와 비형의 이적

시대/ 배경/등장인물 : 진지왕(25대, 576~579), 진평왕(26대, 579~632) / - / 도화녀, 진지왕, 진평왕, 비형, 길달

[38쪽] 이적 : 異跡 1. 기이한 행적 2. 신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불가사의한 일

[39쪽] 이슥하다 : 꽤 깊다

[40쪽] 신원사 : 神元寺 신라시대 경주에 창건된 사찰로, 비형랑이 귀신들을 시켜 신원사 북쪽 도랑에 다리를 놓았다는 설화가 전해지나, 그 창건시기나 폐사시기에 대해서는 전해지는 바가 없다. 다만, 신원사는 다리를 놓을 때 이미 존재하였으므로 신라 25대 진지왕 대 이전에 이미 세워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1 경주부 고적조에 의하면 경주 월남리(月南里)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 경주 오릉(五陵)의 서남쪽을 신원평(神元坪)이라고 칭하며 따라서 이곳을 신원사 터로 비정하고 있다. 신원사 북쪽 도랑에 놓았다는 귀교(鬼橋)는  『삼국유사』 권1 기이1 도화녀 비형랑조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진평왕의 명으로 하루만에 완성한 다리이다. 혹은 황천(荒川) 동쪽 도랑에 놓았다고도 한다. 황천은 경주의 남남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내천에서, 토함산(吐含山)에서 발원하여 남천(南川)으로 흘러들어가 다시 서천(西川)으로 합류하는 내천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1 경주부 고적조에는 귀교가 "신원사 옆에 있다."라고 하였으며 곧이어 『삼국유사』 권1 기이1 도화녀와 비형랑조의 설화가 전개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1 경주부 교량조에는 서쪽 십리에 있다고 하는 "신원교(神元橋)"가 보이는데 이것이 귀교의 이칭일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41쪽] 흥륜사 : ▶ 133쪽

 

신라 06. 국사의 어머니

시대/ 배경/등장인물 : 진평왕(26대, 579~632) / - / 원광법사(=경조), 이덕삼

[42쪽] 원광법사 : 世俗五戒 : 事君以忠, 事親以孝, 交友以信, 臨戰無退, 殺生有擇

[45쪽] 부덕 : 婦德 여자가 지켜야 할 도리

 

신라 07. 천산 땅에 묻은 맹세

시대/배경/등장인물 : 진평왕(26대, 579~632) / 가실사 / 귀산, 취항, 무은 장군, 원광법사

[46쪽] 가실사 : 경북 청도군 운문산 

[48쪽] 진평왕 19년 가을 : 백제군 신라 공격 (백제 30대 무왕 3년)

[48쪽] 천산 : 신라군이 백제군의 매복 기습공격을 받은 장소, 위치 미상

 

신라 08. 통곡하는 충신의 무덤

시대/배경/등장인물 : 진평왕(26대, 579~632) / - / 김후직, 진평왕

[50쪽] 김후직 : 지증왕(22대, 500~514)의 손자, 이찬(2두품, 진골) 벼슬을 지냄

[53쪽] 종내 : 終乃 끝까지 내내

 

신라 09. 혜숙의 이적

시대/ 배경/등장인물 : 진평왕(26대, 579~632) / 적선촌(赤善村) / 혜숙(惠宿), 구감랑

[54쪽] 이적 : 異跡 38쪽

 

신라 10. 공주의 길

시대/ 배경/등장인물 : 진평왕(26대, 579~632) / - / 덕만공주, 칠숙, 석품, 영두랑(永斗郞), 을제, 낙신, 수품

[61쪽] 부마 : 왕의 사위=駙馬都尉(부마도위) 고구려 12대 중천왕(248~270) 9년(256년) 명림홀도를 사위로 삼아 그에게 부마도위라는 칭호를 준 것에서 유래

[61쪽] 각간 : =이벌찬, 서발한, 서불한 ,우벌찬, 각찬, 이벌간, 서불감, 일벌찬 or 상대등(=각간) > 대등(=이벌찬)

[63쪽] 모란꽃, 나비 : 모란꽃은 부귀, 나비는 질수(耋壽 = 80세)를 의미 → 모란과 나비를 함께 그리는 것은 부귀의 의미를 제한적으로 축소시킨다하여 중국에서는 같이 그리지 않음

 

신라 11. 청포 삼백 필과 구토설화

시대/ 배경/등장인물 : 선덕여왕(27대, 632~647) / 대야성 / 윤충, 김품석, 김춘추, 김유신, 보장왕(28대, 642~668), 선도해

[65쪽] 대야성 : 경남 합천군

[66쪽] 참척 : 慘慽 자손이 먼저 죽는 일

[67쪽] 벌매현 : 伐買縣 신라-고구려 국경지대

[67쪽] 청포 : 靑布 푸른 빛깔의 베

[68쪽] 마목현 : 麻木峴 = 麻骨岾(마골점) 충북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와 사문리 사이, 속칭 겨릅재

[68쪽] 죽령 : 竹嶺 경북 영주시 풍기읍과 충북 단양군 대강면 사이에 있는 고개

 

신라 12. 구층 석탑의 숨은 뜻

시대/ 배경/등장인물 : 선덕여왕(27대, 632~647) / 황룡사 / 자장율사, 아비지

[72쪽] 황룡사 : 553년(진흥왕 13년)부터 짓기 시작

[74쪽] 교교하다 : 皎(달빛 교, 달 밝을 교) 매우 맑고 밝다, 재주와 지혜가 있다

[75쪽] 척 : 尺(한자) = 자(우리말) : 약 30cm > 치 : 약3.3cm

 

신라 13. 부궤화상

시대/ 배경/등장인물 : - / 부개사, 항사사, 금강사 / 혜공, 천진공, 원효, 명랑대사

[77쪽] 부궤화상 : 負(질 부)簣(삼태기 궤)和尙 = 우조(노비 때 이름) = 혜공, 신라 진평왕~선덕여왕 시기의 명승

[77쪽] 부개사 : 夫蓋(덮을 개)寺 

[82쪽] 항사사 : 恒沙寺 오어사(吾魚寺)의 처음 이름. 오어사는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로 경북 포항시 오천읍 운제산에 위치하였으며, 신라 진평왕 때 창건 되었다.

[82쪽] 명랑대사 : 632년 당에 갔다가 635년 귀국, 금강사를 창건

 

신라 14. 여왕을 사랑한 지귀

시대/ 배경/등장인물 : 선덕여왕(27대, 632~647) / 영묘사 / 지귀, 선덕여왕

[82쪽] 괴나리봇짐 : 먼 길을 떠날 때 짊어지고 가는 자그마한 보자기로 꾸린 짐

[82쪽] 1리 : 약 0.392727km / 300리 ≒ 117km

[83쪽] 사관 : 舍館 일정한 값을 내고 남의 집에 머물며 먹고 자는 것

[85쪽] 영묘사 : 선덕여왕의 발원으로 지은 절, 폐사연도 미상이나 영묘사라고 찍힌 기와가 발견되고 있으며 민가에 주춧돌이 발견됨. 1460년(세조6) 봉덕사 신종을 이곳에 옮겼다는 기록이 있으며, 조선초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됨.

 

신라 15. 만명부인의 덕

시대/ 배경/등장인물 : - / 진주 / 만문(만명부인), 서현공, 숙흘종

[89쪽] 운우 : 雲雨 남녀 사이에 육체적으로 관계를 맺는 일을 빚대어 표현한 말

 

신라 16. 추남의 환생

시대/배경/등장인물 : - / 골화천 / 김유신, 백석

[94쪽] 골화천 : 骨火川 지금의 경상북도 영천시(永川市) 지역에 있었던 내 이름

[96쪽] 추상 : 秋霜 꾸중 따위가 기세등등하고 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가을의 찬서리를 뜻함

 

신라 17. 광덕과 엄장의 불심

시대/ 배경/등장인물 : - / 분황서리, 남악 / 광덕, 엄장

[104쪽] 원효대사 : 617~686 (진평왕39~신문왕6)

 

신라 23. 문수암의 늙은 농부

시대/ 배경/등장인물 : 원성왕(38대, 785~798) / 영취산, 문수암 / 연회법사

[128쪽] 영취산 : 靈鷲山 불교와 관련된 지명으로 고대 인도의 마가다국의 수도 라자그리하 주위에 있던 산인데, 석가모니가 설법한 장소로 유명하다. 대동여지도에는 영취산이 8곳이나 된다. 전남 여수시와 경북 성주군에 소재한다. 鷲:독수리 취

[128쪽] 바랑 : 승려가 등에 지고 다니는 자루 같은 큰 주머니

[129쪽] 동가식서가숙 : 東家食西家宿 이곳저곳 떠돌아다니면서 얻어먹고 지냄

[130쪽] 장삼 : 長衫

[130쪽] 주지 : 主持

[131쪽] 반추 : 反芻 지난간 일을 되풀이하여 기억하고 음미함

[131쪽] 단박에 : 지체없이 그 자리에서 곧바로, '單番에', '대번에'

[131쪽] 가부좌 : 跏趺坐 跏는 발다닥, 趺는 발등을 가리킨다.

[131쪽] 삼매경 : 三昧境 잡념을 버리고 한가지 대상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경지

 

신라 24. 김현의 사랑

시대/ 배경/등장인물 : 원성왕(38대, 785~798) / 흥륜사, 호원사 / 김현

[133쪽] 흥륜사 : 신라 진흥왕(24대, 540~576) 5년(544년)에 완공된 신라 최초의 가람(사찰). 삼국사기에 따르면 13대 미추 이사금(261~281) 3년, 고구려 고승 아도가 성국공주의 병을 고쳐주어 사찰의 건립을 허락했다는 설화가 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19대 눌지 마립간(417~458) 때 창건되었다는 것을 정설로 보며 왕이 죽은 후 폐허가 되었다가, 법흥왕(23대, 514~540) 14년(527년)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다시 공사를 진행해 진흥왕 때 완공되었다. 조선시대에 화재로 소실되었으며, 현재 경주시 사정동에 절터가 남아있다.

[133쪽] 사위 : 四圍 사방의 둘레

[134쪽] 표표히 : 107쪽 / 飄飄히 : 방랑하는 것이 정처없이 / 漂漂히 : 물 위에 떠있는 모습이 가볍게 

[135쪽] 반려자 : 伴侶者 / 짝伴 짝侶

[136쪽] 포효 : 咆哮

[137쪽] 낭 : 郎 사내

[139쪽] 낭자 : 娘子 아가씨

[139쪽] 낭자 : 狼藉 / 이리狼 깔개藉 / 이리가 깔고 자기위해 풀로 만든 잠자리의 모습으로, 뒤죽박죽 지저분하게 어지러이 흩어진 모양을 가리킨다.

[140쪽] 호원사 : 虎願寺 경주시 황성동에 절터가 남아 있다.

 

신라 25. 응렴의 선택

시대/ 배경/등장인물 : 헌안왕(47대, 857~861) / - / 응렴(應廉), 헌안왕, 범교사(範敎師)

[141쪽] 국선 : 화랑과 동의어 또는 낭도를 거느리고 있는 여러명의 화랑 중에서 총지도자로서의 한명으로 국왕이 특별히 임명한 자

[143쪽] 범교사 : 範敎師 응렴에 대한 충고로 대덕(大德)이라는 벼슬과 금 130냥을 하사받았다. 삼국사기에 흥륜사승(興輪寺僧)이라 일컬었으며 삼국유사에는 상수(上首)라 일컬은 것으로 보아 응렴의 낭도 무리 중 으뜸가는 흥륜사의 승려이자 낭도로 추정됨.

[145쪽] 경문왕 : 48대 (861~875)

 

신라 26. 원앙의 혼

시대/ 배경/등장인물 : 경문왕(48대 (861~875) / - / 김수길

[146쪽] 전동 : 箭桐 화살箭 오동나무桐 오동나무로 만든 화살통 / 箭筒와 箭筩 두 단어의 뒷자는 모두 대통 '통'으로 본음이 '통'이나 화살집을 이르는 이 단어의 경우에는 널리쓰이는 속음으로 '전동'으로 읽는다.

[148쪽] 쾌재 : 快哉

 

신라 27. 소경 어머니와 딸 지은

시대/ 배경/등장인물 : 정강왕(50대, 886~887) 또는 진성여왕(51대, 887~897) / 포석정(鮑石亭) / 효종랑, 지은(知恩)

[151쪽] 효종랑 : 孝宗郞 김효종, 문성왕(46대, 839~857)의 자손이며, 아들 김부(金傅)가 경순왕에 즉위하면서 '신흥대왕'(神興大王)으로 추존되었다. 정강왕(50대, 886~887)의 형인 헌강왕(49대, 875~886)의 딸, 계아부인(桂娥夫人) 김씨를 아내로 삼게 된다. 

[154쪽] 효양방 : 孝養坊

 

신라 28. 신라 제일의 명궁

시대/ 배경/등장인물 : 진성여왕(51대, 887~897) / 흑도 / 양패(良貝)공, 거타지, 용신(=노인), 사미승(=여우)

[158쪽] 사미승 : 沙彌僧 십계(十戒. 아직 스님이 되지 않은 남자 수행자들이 지켜야 할 열가지 계율을)를 받고 구족계(具足戒, 불교 교단의 승려 중 비구와 비구니가 받는 계)를 받기 위하여 수행하고 있는 어린 남자 승려를 말하며, 아직 승려가 되지 않고 사원에 있으면서 여러 소임 밑에서 일을 돕고 있는 사람인 행자(行者)와는 차이가 있다.

 

신라 29. 부덕이 낳은 기적

시대/배경/등장인물 : - / - / 박 부자, 김상수, 상하, 상아

[162쪽] 매파 : 媒婆 혼인을 성사시키기 위하여 중간에서 다리 놓는 일을 하는 여자. 뚜쟁이 

[162쪽] 술추렴 : 차례로 돌아가며 (술값을) 내어 술을 마시는 것

[163쪽] 희색만면 : 喜色滿面 기쁜 빛이 얼굴에 가득함

[168쪽] 비상 : 砒霜 비소(砒素)와 유황(硫黃)·철(鐵)로 된 광물인 砒石에 열을 가하여 승화시켜 얻은 결정체로, 한방재로서 거담제와 학질 치료에 썼으나 독성 때문에 현재는 쓰지 않는다.

[168쪽] 자리끼 : 밤에 자다가 깨었을 때 마시기 위해 잠자리의 머리맡에 준비하여 두는 물

 

신라 30. 산하의 보은

시대/배경/등장인물 :  - / 큰뫼 / 산하, 정기, 섬돌, 해소(산하의 심복)

[171쪽] 장수 : 長帥

[171쪽] 신지 : 臣智

[173쪽] 경 : 경(黥)은 조선시대에 행해졌던 형벌의 하나로서 자자(刺字)를 가리키는 말이다. 자자란 고대 중국에서부터 행해졌던 형벌로, 얼굴이나 팔뚝의 살을 따고 흠을 내어 먹물로 죄명을 찍어 넣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영조 때까지 행해졌다. ‘경을 친다’는 것은 곧 도둑이 관아에 끌려가서 ‘경’이란 형벌을 받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173쪽] 병구완 : 앓는 사람을 돌보아 주는 것

[175쪽] 들창 : 벽 위쪽에 자그맣게 만든 창

[178쪽] 오랏줄 : 도둑이나 죄인을 묶을 때 쓰던 붉고 굵은 줄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려, 백제] 한권으로 읽는 한국의 야사  (0) 2019.12.25